kt cloud의 기술 전문가들이 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데이터센터 기술 이야기입니다. 인프라 구축부터 운영까지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Tech Story 133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 #1. kt cloud 에서 K8S Cluster 만들기

[kt cloud Container개발팀 김유민 님]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 #1. kt cloud 에서 K8S Cluster 만들기 초등학생 때 처음 컴퓨터를 배우면서 읽었던 무작정 따라하기 책을 떠올리며 Container, MSA, 쿠버네티스를 시작하고 싶은데 개념적으로 너무 어렵다 느끼는 분들을 위한 콘텐츠 입니다.“백문이 불여일견이요, 백견이 불여일각이며, 백각이 불여일행이라" “백번 듣고, 보고, 깨우치는 것 보다 한번 행함이 낫다” 라는 고사성어처럼 일단 무작정 따라하면서 실습을 통해 쿠버네티스와 가까워지는 시리즈입니다.이번 시리즈 동안에는 개념이나 이론적인 설명들은 최대한 배제할 예정입니다!( 혹시 개념이나 이론적인 분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중간 중간 관련 링크를 첨부 드릴게요,하지..

gRPC로 시작하는 API 개발: 첫 번째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현

[kt cloud 플랫폼Innovation팀 강솔 님]  gRPC로 시작하는 API 개발: 첫 번째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현  지금까지 gRPC의 핵심 동작 원리와 개념에 대해 학습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RPC 핵심 동작 원리를 바탕으로 Java와 Spring Boot를 사용해 간단한 은행 계좌 잔액 조회 서비스를 구현해보겠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서비스 스키마 정의부터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현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따라가며, gRPC 동작 방식을 학습합니다. 그리고 gRPC 관련 여러 가지 테스트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gRPC 샘플 프로젝트 구현하기 1.1. Sample 시나리오 및 구성    1. 서비스 정의        a. Bank Service: 은행 계좌 서비스      ..

gRPC의 내부 구조 파헤치기(2): Channel & Stub

[kt cloud 플랫폼Innovation팀 강솔 님] gRPC의 내부 구조 파헤치기(2): Channel & Stub이번 포스팅에서는 gRPC의 핵심 동작 원리인 채널(Channel)과 스텁(Stub)의 개념과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gRPC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어떻게 연결되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원격 메서드를 호출하는 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채널(Channel)과 스텁(stub)을 통한 서버와 클라이언트 연결하기  gRPC를 사용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원격 메서드를 마치 로컬에 있는 것처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내부적으로 채널과 스텁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네트워크 연결과 호출 전달을 처리하기 때문입니다.이제 채널과 스텁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며 동작하는지에..

NPU로 sLM 서빙하기: 새로운 가능성 탐구

[kt cloud AI플랫폼팀 최지우 님]  NPU로 sLM 서빙하기: 새로운 가능성 탐구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AI 모델의 효율적인 배포와 운영을 위한 새로운 처리 장치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NPU(Neural Processing Unit)라는 새로운 주자가 등장했습니다. NPU는 인공 신경망 연산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프로세서로, 기존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와는 다른 방식으로 AI 워크로드를 처리합니다.NPU는 대규모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특히 신경망 연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NPU는 적은 전력으로 높은 성능을 낼 수 있습니다.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 과정에서 NPU는 더욱 효율적인 데이터 흐름과 메모리 관리로 성능을 크게 향..

Tech Story/AI Cloud 2024.10.31

OpenStack 컴퓨팅 서비스 이해하기: 기초편

[kt cloud CloudSW운영팀 김호균 님]  OpenStack 컴퓨팅 서비스 이해하기: 기초편 kt cloud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컴퓨팅 자원 등을 제공하는 인프라 서비스(Iaa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IaaS 서비스는 주로 OpenStack, CloudStack, XenServer, VMWare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제공됩니다. 그중에서도 OpenStack 플랫폼이 어떻게 컴퓨팅 자원(VM)을 제공하는지, Nova 서비스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What is NoVA? OpenStack은 다양한 상호 연관된 프로젝트들을 통해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오픈 소스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프로젝트입니다. Nova는 Keystone, Glance, Neutron, ..

Container APM 서비스의 HA(High Availability) 테스트

[kt cloud 서비스개발팀 강상구 님]Container APM 서비스의 HA(High Availability) 테스트 안녕하세요, kt cloud의 K2P 서비스에 Container APM이라는 모니터링 서비스 옵션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이번에, 데이터를 수집하는 체계를 단일화하고, 3개의 Master Pod를 통한 고가용성(HA) 구조로 Container APM 서비스가 더욱 고도화되었습니다.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보관하는 APM 서비스에서 VM이나 서비스에 문제가 생겼을 때 데이터의 안정성과 고가용성에 대한 확인이 필요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도화 과정에서 진행된 HA(High Availability) 기능 테스트의 기록을 간단하게 공유하고자 합니다.  테스트 환경 kt..

Design System 이 필요한 이유

[kt cloud 서비스개발팀 우현수 님]  Design System 이 필요한 이유  Design System 이란? 제품이나 서비스의 UI를 일관성 있게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한 일련의 가이드라인, 컴포넌트, 패턴 등을 모아놓은 체계를 말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과 개발팀이 협업할 때 통일된 기준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일관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자인 시스템은 특히 대규모 제품이나 장기적으로 유지 보수되는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 또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페이지를 기획할 때도 기존 디자인과 쉽게 통합할 수 있으며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도구이다. Design System 필요한 이유  1. 개발 효율성 향상: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간의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재사용할 수 ..